[디지털뉴딜 1년] 첫해 1조6000억원 통큰 투자.."디지털 대전환 주춧돌"

기업 1만2000개·인력 4만9000명?대거 참여..경기 회복·일자리 확충 기여

김정태 기자 승인 2021.01.14 18:10 의견 0
14일 정부는 공인전자서명제도 폐지 등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해 관련법과 제도 등 각종 사회적 인프라를 개선중이다.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머니=김정태 기자] 정부는 지난 1년간 디지털뉴딜 사업에 1조6000억원을 투자했다. 이 사업에는 기업 1만2000여개와 인력 4만9000여명이 대거 참여했다. 교육 등 비 정보통신기술(ICT)기업의 디지털 전환 참여 숫자가 전년대비 85% 증가한 것도 주요 성과다.

디지털 뉴딜은 코로나19로 야기된 경기 침체와 일자리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오는 2025년까지 국비 44조8000억원을 투자하는 대규모 국가 프로젝트이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4일 "2020년은 디지털 뉴딜을 기획하고 시작함으로써 디지털 대전환의 주춧돌을 놓은 해"라며 "2021년을 대통령이 언급한 회복·포용·도약의 해로 만들어가기 위해 디지털 뉴딜이 앞장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 수혜기업 중 중소기업이 1만843개.."경제에 활력"

과기정통부는 이날 관계부처가 공동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뉴딜 사업 중에서 지난해 추진된 소관 사업들에 대한 진행 상황 등을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중소기업 활력 제고 ▲신(新) 산업 등장과 성장 ▲비(非)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디지털 전환 ▲대규모 참여 인력 ▲디지털 인재 양성 ▲디지털 격차 해소 노력 ▲법·제도 개선 등을 디지털 뉴딜 사업의 대표적인 성과로 분류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7월 한국판 뉴딜 계획 발표 이후 디지털 뉴딜 예산 약 1조6000억원을 투입해 81개 사업을 추진했다. 국내 기업 총 1만2486개사와 4만9000여명 대규모 인력이 참여했다.

과기정통부의 디지털 뉴딜 사업에는 크고 작은 민간기업들을 중심으로 공공기관과 지자체, 의료기관 등 총 1만2000여개 기업·기관들이 참여했다. 특히 수혜기업 중 중소기업이 1만843개를 차지하며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워진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또 데이터 댐 구축 사업 등을 통해 인공지능 공급 기업 수가 220개에서 553개로 늘었고 데이터 공급 기업 수도 393개에서 765개로 증가했다. 데이터 가공을 위한 '크라우드 소싱' 플랫폼 기업도 약 2.6배 확대됐다.

아울러 다양한 분야의 바(非) ICT기업들이 인공지능·데이터·클라우드 바우처를 지원받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비용을 절감했다. 제조, 유통 등 전통산업 분야는 물론, 뷰티·패션, 교육, 의료 등 비 ICT 분야 기업들의 참여가 전년 대비 85% 증가했다.

14일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코로나 이후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혁신교육 인프라를 확충해 디지털 인력 1만4000명을 육성했다.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혁신교육 인프라 확충, 디지털 인력 1만4000명 육성

디지털 뉴딜 사업은 고용시장의 어려움 완화에도 기여했다.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의 경우, 수행기업이 크라우드 소싱을 통해 취업준비청년, 경력단절여성, 실직자, 장애인 등이 참여해 전체 인력 중 62%(2만4000여명)가 고용취약계층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배움터 사업’에서는 디지털 교육 강사와 서포터즈 등 4600여명을 고용해 지역의 일자리 문제 해결에도 기여했다.

정부는 디지털 인재 양성에도 집중했다. 코로나 이후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혁신교육 인프라를 확충해 디지털 인력 1만4000명을 육성했다.

코로나19로 온라인 수업과 재택근무가 늘면서 디지털 역량 교육을 수료한 시민도 늘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는 전국 1000개소 이상 구축된 '디지털 배움터'를 통해 21만여 명에게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 활용 방안을 교육했다. 이들의 교육 시간은 약 44만 시간을 기록했다.

디지털 뉴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ICT 규제 샌드박스를 통한 지속적인 규제개선을 진행했다. 클라우드, 공인인증 등 다양한 분야의 법·제도를 개선하는 한편 인공지능 윤리기준도 마련했다.

오랫동안 논란이 된 공인전자서명제도는 전격 폐지했다.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 제도의 경우 제도를 신설한 이후 3개월 만에 21개 사업에 대해 총 5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는 등 의미 있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AI 융합 서비스(AI+X)'도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뉴딜 사업을 통해 신종감염병 예측이나 의료영상 판독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7대 분야에 AI를 활용하는 서비스다.

현재 55개 기업이 이 사업을 통해 MRI나 엑스레이 등 의료영상 50만 건과 불법 복제품 이미지 50만 건 등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이 밖에 원격수업이나 재택근무 등 비대면 서비스가 늘어남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775개 기업에 정보보호 컨설팅을 제공하고, 1만6300건의 원격 PC 보안점검 서비스를 제공했다.

<저작권자> 디지털 세상을 읽는 미디어 ⓒ디지털머니 | 재배포할 때에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